성인상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사례

사례1
사례2
20대 초반의 대학생입니다.

A씨는 20대 초반에 성폭력을 당했습니다. 그 후로 A씨는 자신의 몸에 대해 혐오감을 느끼고, 성적인 관계를 피하며, 가해자와 비슷한 외모나 행동습관을 가진 사람들을 보면 공포와 불안에 휩싸였습니다. 피해 사건 당시를 잊으려고 했지만, 자주 악몽을 꾸거나 플래시백으로 외상을 재경험했습니다. A씨는 피해를 당한 원인이 본인에게 있었을지도 모른다며 자책하였으며, 다른 사람들을 만나는 것이 두려워 사회적 상황을 기피하게 되었습니다.

40대 후반의 남성입니다.

B씨는 40대 후반에 산사태로 가족들을 잃었습니다. 산사태 당시를 연상케 하는 장면을 보면 가족의 사망을 알게된 순간의 충격과 공포를 느꼈습니다. B씨는 가끔 가족들의 죽음에 대해 기억하지 못하거나, 자신만 살아남았다는 죄책감에 빠졌습니다.

특징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는 외상적 사건을 직접 경험하거나 목격하거나 듣거나 알게 된 후에 극심한 불안, 공포, 무력감, 고통을 느낍니다. 외상적 사건은 사망, 심각한 상해, 성폭력 등의 위협이나 실제로 발생한 사건을 말합니다.

치료

  • 치료 첫단계: 진단 및 치료계획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를 치료하기 위해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정확한 진단, 그리고 정신보건 전문가(정신과 의사와 정신보건 전문요원)의 지속적인 도움입니다. 정신보건 전문가는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의 증상과 원인을 정확하게 평가하고, 적절한 치료 계획을 수립하고, 치료 과정을 지도하고, 치료 결과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 인지 행동 치료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BT):

    CBT는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치료의 주요 접근 방법 중 하나로, 개인의 사고와 행동 패턴을 이해하고 변화시킴으로써 증상을 완화시키는 데 도움을 줍니다. CBT에는 다음과 같은 기법들이 있습니다.

  • 노출 치료 (Exposure Therapy)

    노출 요법은 외상적 사건에 대해 안전하게 대면하도록 도와주는 기법입니다. 외상적 사건에 대한 기억, 이미지, 감정, 생각 등을 반복적으로 노출함으로써 공포나 불안을 감소시키고, 회피나 회상을 줄이고, 왜곡된 생각이나 태도를 바꾸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 인지 치료(Cognitive Therapy)

    인지 치료는 외상적 사건에 대한 부정적이고 비합리적인 생각이나 믿음을 식별하고 도전하고 바꾸는 기법입니다. 인지 치료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환자들이 자주 가지는 자신이나 타인에 대한 책임감, 죄책감, 부끄러움, 분노 등의 감정을 조절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스트레스 관리 기술 (Stress Management Skills)

    스트레스 관리 기술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환자들이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가르치는 기법입니다. 스트레스 관리 기술에는 호흡 조절, 근육 이완, 명상, 자기 지시 등이 있습니다.

치료 방향

출처

※ 안내에 포함된 일부 사례와 특징은 [사례중심의 이상심리학, 학지사]에서 김청송 저자분의 승인을 받아 내용을 수정한 것이고, 나머지도 상담한 특정 사례가 아니라 일반적인 여러 사례의 특징을 모아서 재구성한 것임을 알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