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증
우울증
사례
40대 중반의 남성 회사원입니다.
최근 몇 개월 동안 지속적인 우울감과 무기력감을 경험하고 있습니다. 일상생활에서 흥미를 잃고, 일에 대한 동기와 집중력이 감소하였습니다. 이전에 즐기던 취미나 사회적 활동에 참여하지 않으려고 하며, 친구 모임도 피하기 시작했습니다. 또한 잠을 제대로 이루지 못하고, 식욕이 감소하고 체중이 감소하고 있습니다. 자신을 자책하고 비난하는 부정적 생각과 자기 이야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자신의 가치를 의심하며,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자신감을 잃어가고 있습니다. 일상생활에서의 책임과 압박감으로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있습니다.
30대 초반의 두 아이를 둔 엄마입니다.
일상적인 가사 및 육아 업무에 매일 힘들게 노력하며 살아가고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에 그녀는 지치고 우울한 기분을 자주 느끼며, 일상 생활에서 즐거움과 흥미를 잃어갑니다. 주로 집안일과 육아를 맞고 있으며, 사회적 활동이 제한되고 혼자 있는 시간이 많습니다. 이로 인해 그녀는 사회적 연결을 느끼기 어렵게 되었고, 외로움을 느끼며 친구들과의 교류를 피하기 시작했습니다. 남편과 어머니가 위로하며 “힘내, 당신에겐 사랑스러운 아기가 있잖아!”라는 말을 듣고, 자신이 아이들을 소홀히 했기 때문이라는 생각이 들어서 더욱 자신을 비난하고 심하게 자책하였습니다. 가족들에게 실망을 준 것 같다는 생각과 무능력감을 느끼고 있습니다. 잠을 충분히 자지 못하고 피로감이 쌓여가고 있습니다.
특징
우울증은 슬프고 우울한 기분 · 관심과 즐거움의 감소 · 무기력감 · 수면문제 · 집중력 및 인지기능 저하 · 자살생각 등이 주된 증상인 심리장애입니다.
- 슬픈 기분과 절망감이 지속되고, 일상생활에 흥미나 즐거움을 느끼지 못합니다.
- 지치고 무기력한 느낌이 하루 전반에 만연하여 일상적인 일들 마저도 힘들어질 수 있습니다.
- 잠을 자기 어렵거나 지나치게 많이 자는 등의 수면문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식욕 감소나 증가로 체중 변화가 생기기도 합니다.
- 인지적으로는 집중력, 기억력 및 판단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 만약 자살 생각이나 죽음에 대한 생각까지 든다면 심각한 증상이므로 즉각적인 도움이 필요합니다.
연령 및 대상별 특성
소아청소년기 우울증
지속적이고 전반적인 슬픔, 무감동, 따분함, 자극 과민성 등이 주요 증상입니다. 소아기 우울증은 자극 과민성, 활동 과다, 공격적 행동, 친구 관계의 악화, 무단결석, 등교 거부, 가출, 학교 성적 저하, 신체 증상, 분노발작, 공포증 등으로 위장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합니다.
노년기 우울증
기분 저하보다 신체적 호소가 많은 것이 특징입니다. 우울하냐고 물으면 ‘우울하지 않다’고 부정하는 경우가 많으며 식욕 저하, 수면장애, 활력 감소 등 신체 증상을 주로 호소합니다. 또한 노인 우울증에서는 인지기능 장애가 흔히 나타나며, 이로 인해 치매로 오인되기 쉬워 가성 치매라고도 합니다.
산후 우울감 및 우울증
산후우울감은 대부분 일시적이지만, 약 10~20%는 산후 우울증으로 진행되어 피로, 무기력, 인지저하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산후 우울증의 특징은 아기의 건강이나 사고에 대해 과도하고 부적절한 걱정을 하거나, 반대로 아예 관심을 잃는 것입니다. 이 때문에 아기에게 적대적, 폭력적인 행동을 하거나 산모 스스로 아기나 자신에게 해를 끼칠 것 같은 두려움이 생길 수 있습니다.
폐경기 우울증
완전한 폐경까지는 대략 5~6년이 소요되는데, 난소 기능이 점차 감소하면서 여성 호르몬이 줄어 갱년기 증상이 생깁니다. 갱년기 우울증은 우울감과 더불어 불안, 심한 기분 변동, 수면장애, 인지기능의 장애 등으로 나타나며 홍조와 야간 발한, 질 건조증, 성교통, 요실금 같은 비뇨생식기 증상을 동반합니다.
기타
화병은 ‘화가 날 만큼 충격적인 일을 경험한 결과’로 생긴 분노로, 행동 및 신체 증상으로 표출되기도 합니다. 한때 진단명으로 사용한 적도 있으나 현재는 정식 진단명으로 인정하지 않습니다. 정신 행동 증상으로 분노, 우울, 불안, 죄책감, 생각이 많음, 피해 의식, 하소연, 눈물과 한숨 등이 나타납니다. 신체 증상으로는 열감, 가슴 답답함, 구갈, 가슴 두근거림, 식욕감퇴, 위장장애, 불면증, 두통, 기타 만성 통증 등이 흔히 나타납니다.
지속적이고 전반적인 슬픔, 무감동, 따분함, 자극 과민성 등이 주요 증상입니다. 소아기 우울증은 자극 과민성, 활동 과다, 공격적 행동, 친구 관계의 악화, 무단결석, 등교 거부, 가출, 학교 성적 저하, 신체 증상, 분노발작, 공포증 등으로 위장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합니다.
지속적이고 전반적인 슬픔, 무감동, 따분함, 자극 과민성 등이 주요 증상입니다. 소아기 우울증은 자극 과민성, 활동 과다, 공격적 행동, 친구 관계의 악화, 무단결석, 등교 거부, 가출, 학교 성적 저하, 신체 증상, 분노발작, 공포증 등으로 위장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합니다.
산모의 약 85%에서 발생하는 산후우울감은 일시적이며 대부분 자연소실 됩니다. 하지만 약 10~20%는 산후 우울증으로 진행해 피로, 무기력함, 의욕 상실, 짜증, 초조, 수면장애, 인지기능 저하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산후 우울증의 독특한 증상은 아기의 건강이나 사고 발생에 대해 과도하고 부적절한 걱정을 하거나, 반대로 아예 관심을 잃는 것입니다. 이로 인해 아기에게 적대적, 폭력적인 행동을 하거나 산모 스스로 아기나 자신에게 해를 끼칠 것 같은 두려움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완전한 폐경까지는 대략 5~6년이 소요되는데, 난소 기능이 점차 감소하면서 여성 호르몬이 줄어 갱년기 증상이 생깁니다. 갱년기 우울증은 우울감과 더불어 불안, 심한 기분 변동, 수면장애, 인지기능의 장애 등으로 나타나며 홍조와 야간 발한, 질 건조증, 성교통, 요실금 같은 비뇨생식기 증상을 동반합니다.
화병은 '화가 날 만큼 충격적인 일을 경험한 결과'로 생긴 분노로, 행동 및 신체 증상으로 표출되기도 합니다. 한때 진단명으로 사용한 적도 있으나 현재는 정식 진단명으로 인정하지 않습니다. 정신 행동 증상으로 분노, 우울, 불안, 죄책감, 생각이 많음, 피해 의식, 하소연, 눈물과 한숨 등이 나타납니다. 신체 증상으로는 열감, 가슴 답답함, 구갈, 가슴 두근거림, 식욕감퇴, 위장장애, 불면증, 두통, 기타 만성 통증 등이 흔히 나타납니다.
치료
-
변화동기 강화하기
먼저 동기강화치료를 통해 오랜 절망과 무기력감에 지쳐 있는 내담자의 변화동기를 강화하는 작업이 진행됩니다. 주변에서 무조건 “힘내”라고 하는 것은 큰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우울증이 찾아 온 이유가 있을 것인데 그 이유가 생물학적 요인, 심리적 요인, 환경적 요인인지를 먼저 이해해야 앞으로 무엇을 할지 보이고, 변화에 필요한 에너지가 만들어지기 때문입니다.
-
자신에 대한 진정성 있는 이해
근본적인 자기 변화를 위해서는 자신에 대한 진정성 있는 이해가 절대적으로 필요합니다. 자신에 대한 깊은 이해를 위해 필요하다면 적절한 심리검사(ex. 기질검사)를 할 수 있습니다.
-
인지행동치료를 통한 적응적 사고 습득
진정한 자기이해와 변화동기가 만들어졌다면, 인지행동치료를 통해 자기 자신, 다른 사람, 그리고 세상과 미래에 대한 부정적이고 비관적인 생각들을 찾아내고, 이를 보다 현실적이고 기능적인 생각으로 변화시키는 과정을 거칩니다. 실생활에서 부정적인 생각이나 불안에 직면할 때 예전과는 다른 행동으로 대처하거나 환경을 변화시켜봄으로써 새로운 경험을 쌓게 됩니다. 이런 측면에서 인지행동치료에서 내담자는 치료를 받는 수동적인 존재가 아니라 스스로 자신을 치료하는 치료자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내담자는 이전의 부정적인 생각과 그에 따른 부정적 감정이나 무력감이라는 악순환의 고리를 끊고 긍정적인 경험을 쌓아가게 됩니다.
-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 함양
치료를 종료한 이후에도 자신의 문제를 스스로 치료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됩니다. 내담자는 자신의 든든한 지원자(즉, 상담사)가 곁에 있음을 잊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치료 방향
- 동기강화치료로 변화동기 향상
- 생물학적, 심리적, 환경적 요인 파악
- 자신에 대한 진정성 있는 이해
- 인지행동치료를 통한 적응적 사고 습득
- 행동패턴과 환경의 변화, 새로운 경험
- 치료 종료 이후에도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 함양
출처
※ 안내에 포함된 일부 사례와 특징은 [사례중심의 이상심리학, 학지사]에서 김청송 저자분의 승인을 받아 내용을 수정한 것이고, 나머지도 상담한 특정 사례가 아니라 일반적인 여러 사례의 특징을 모아서 재구성한 것임을 알립니다.